분류 전체보기
-
Pride 기록Car/pride (19. ~) 2024. 3. 3. 16:17
+ 기타 DIY 및 까먹은 기록 존재함.20.01 라디에이터 상부 호스 교환20.01 엔진오일, 오일필터, 에어크리너 교환 (242k)20.01 점화플러그, 플러그케이블 교환 (242k)20.02 케니스터, 점화코일 교환 (242k)20.05 산소센서 교환20.05 미션오일 교환 (243k)20.05 수온센서 교환20.06 v 벨트, 브레이크액 교환20.07 알터, 베터리 교환20.09 에어컨 콘덴서, 에어컨 리시버, 라디에이터 교환20.10 앞좌석 글래스런 교환 앞좌석 문 고무몰딩 교환20.11 스피커 교환, 엔진오일, 오일필터, 에어크리너 교환 (249k)21.03 산소센서 교환 (단선)21.04 엔진오일 교환 (255k)21.05 전륜 브레이크 캘리퍼, 디스크 교환, 전륜 보조석 쇼바 교환21.07..
-
React 전역 변수를 사용하자 (부모-자식 컴포넌트 접근, Context)DEV/react 2024. 2. 21. 16:57
React를 사용하면 Component로 화면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물론 Props을 통해 변수나 함수를 던지고 사용할 수 있지만 나처럼 멍청한 사람은 React의 특징을 이해하지도 못한채 router로 페이지를 나눠버리고 그 안에서도 여러 depth의 Component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API 통신을 통해 가져온 Token을 전역 변수로 설정하려고 했는데 로그인 페이지와 접속 이후 페이지가 React router로 나눠버리는 바람에 Props로 던지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전역 변수로 사용하는 법을 찾게 되었고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1. tkContext.js 생성 index.js의 Router render 부분을 감싸줄 Provider를 만들어야 했다. 나는 토큰을 저장하..